본문 바로가기
믿음 안에서

아모스서(Amos) – 정의를 강물처럼, 공의를 가람처럼

by Chaily 2025. 3. 25.

 

 

1. 평범한 자를 부르신 하나님/하느님

아모스는 스스로를 이렇게 소개합니다.

 

아모스 7:14
"나는 예언자도 아니고 예언자의 아들도 아닙니다. 나는 목자이며, 뽕나무를 기르는 사람입니다." (개신교 성경)
"나는 예언자도, 예언자의 제자도 아닙니다. 나는 목자이며, 뽕나무를 가꾸는 사람입니다." (가톨릭 성경)

✔️ 아모스는 예언자 가문도 아니고, 특별한 출신도 아니었습니다.
✔️ 그러나 하나님/하느님은 그를 통해 북이스라엘의 타락을 고발하셨습니다.


2. 겉은 번영, 속은 썩은 시대

아모스는 당시 북이스라엘의 번영 뒤에 감춰진 불의, 부패, 착취, 형식적인 신앙을 신랄하게 지적합니다.

 

아모스 5:11
"너희가 가난한 자를 학대하고, 그에게서 밀이 한 마디를 강탈하므로..." (개신교 성경)
"너희는 가난한 사람을 억누르고, 그에게서 곡식을 빼앗는다..." (가톨릭 성경)

✔️ 부유층은 사치스러운 생활을 누리면서 가난한 이들을 외면했습니다.
✔️ 정의는 땅에 떨어졌고, 재판은 돈에 의해 좌우되었습니다.


3. 하나님/하느님의 외침 – 정의를 강물처럼

하나님/하느님은 형식적인 제사와 찬양을 거부하십니다. 그분은 삶의 정의와 공의를 원하십니다.

 

아모스 5:24
"오직 정의를 물 같이,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." (개신교 성경)
"정의가 물처럼 흐르고, 공의가 마르지 않는 시내처럼 흐르게 하여라." (가톨릭 성경)

📌 신앙은 예배당 안에서의 예식만이 아니라, 일상에서 실현되는 삶의 태도입니다.


4. 심판과 회복 – 무너진 장막을 다시 세우리라

아모스는 하나님의 심판을 전하지만, 마지막에는 회복의 약속도 전합니다.

 

아모스 9:11
"그 날에 내가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일으키고..." (개신교 성경)
"그날에 나는 다윗의 무너진 초막을 일으키겠다..." (가톨릭 성경)

✔️ 이 예언은 훗날 메시아적 회복과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상징으로도 해석됩니다.


📌 아모스서가 주는 메시지 요약

  • 하나님/하느님은 형식보다 삶의 정의와 공의를 원하십니다.
  • 평범한 사람도 하나님의 부르심 앞에 쓰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타락한 시대 속에서도 회개의 기회는 주어지고, 회복은 약속됩니다.